'공부/건강'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54

구강·식도의 질환 - 구강·식도의 구조, 설암, 구강암, 식도염, 식도정맥류, 식도암 구강·식도의 질환 구강·식도의 구조 ◎ 소화계통 소화관은 구강으로부터 항문에 이르는 전장 약 9m의 관모양 기관입니다. 이 소화관과 간, 담낭, 담관, 췌장 및 구강샘을 총칭하여 소화계통이라고 하며, 음식물의 소화, 흡수, 대사, 배설을 담당하는 일련의 기관입니다. ◎ 소화관벽 소화관벽은 원칙적으로 점막, 근육층, 바깥막(외막) 또는 장막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막은 구강으로부터 식도 및 항문의 내강은 편평상피에 의하여, 위로부터 직장가지는 원주상피에 의하여 뒤덮여 있습니다. ◎ 식도 식도는 성인의 경우 약 25cm 길이로 가슴세로칸부위(종격부)에 위치하고 기관의 뒷부분을 거의 직선상으로 주행합니다. 10~11번째 흉추 높이에서 가로막을 관통하여 위와 연결됩니다. 이 점막면은 맨눈으로는 하얗게 보.. 2019. 8. 3.
위의 질환(3-3) - 위암 위의 질환 3) 위암(Gastric cancer) 위암은 위점막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며, 그 진행 정도에 따라 조기암(표재암)과 진행함으로 그리고 조직형에 따라서 유두샘암, 저분화샘암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위암은 한국인을 포함하여 일본인에게 많은 질환입니다. 위암은 중년 고령자층에 많으며 호발 부위는 날문전정부 작은굽이쪽입니다. (1) 조기 위암과 진행 위암 ◎ 조기 위암 조기 위암이란 위벽 내의 종양의 확산이 점막 고유층 또는 점막 밑층 내인 것을 말합니다. 조기 위암은 점막면으로의 소견에 따라서 3개의 기본형으로 분류됩니다. 암이 정상 점막면보다도 두 배 이상 높이를 나타내는 것을 Ⅰ형, 정상 점막면부터 울퉁불퉁 한 정도가 경도인 것을 Ⅱ형, 그리고 궤양을 형성하는 것(오목형)을 Ⅲ형이라고 합니.. 2019. 8. 2.
위의 질환(3-2) -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의 질환 2) 위궤양(Gastric ulcer)과 십이지장궤양(Duodenal ulcer) ◎ 원인 위궤양(Gastric ulcer)은 위벽의 부분적인 결손이며, 일반적으로 위통(상복부통)을 동반합니다. 일반적으로 십이지장궤양(Duodenal ulcer)은 위궤양과 비슷한 면이 많으며, 이것들의 원인이 위액에 의한 위벽이나 십이지장벽의 자기 소화라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이 두 질환을 일괄하여 소화성 궤양 또는 위·십이지장궤양으로서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발 연령은 30~60세이며 남성에게 많습니다. ◎ 분류 위궤양(Gastric ulcer)은 궤양의 깊이에 따라서 4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Ⅰ도는 점막 고유층에만 결손이 나타나는 것으로 미란과 동의어입니다. Ⅱ도는 위벽의 결손이 점막밑층(점막하층).. 2019. 8. 1.
위의 질환(3-1) - 위의 구조, 위염 위의 질환 위의 구조 식도와 위의 이행부를 들문(분문)이라고 합니다. 위는 소화관 중에서 가장 내강이 넓은 장기로 그 가장자리 부위를 정면에서 보면 크고 작은 2개의 굽이(만곡)를 볼 수 있습니다. 위쪽의 짧은 굽이를 작은 굽이(소만, lesser curvature), 아래쪽의 긴 굽이를 큰 굽이(대반, Greater curvature)라고 합니다. 작은 굽이와 큰 굽이를 각각 3 등분하여 선으로 연결하면 위는 위, 중간, 아래 부위로 나누어집니다. 위의 병변은 작은 굽이 쪽에서 많고, 큰 굽이 쪽에는 비교적 적습니다. 따라서 수술재료나 부검 재료를 검색할 때에는 큰 굽이 쪽으로부터 절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위점막 위점막의 표층부는 점액을 생산하는 기능을 가진 샘오목상피(선와상피)에 의해 덮여 있습.. 2019.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