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 및 혈액질환(3-1) - 골수의 기능, 혈구의 분화와 성숙, 빈혈
골수 및 혈액질환 1. 골수의 기능과 혈구의 분화, 성숙 골수의 주요 기능은 조혈입니다. 골수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을 생산합니다. 조혈을 태생 초기(2주부터 2개월쯤까지)에는 난황 주머니에서, 40일부터 7개월쯤까지는 간, 비장에서 이루어집니다. 골수에서는 생후 5개월 정도부터 조혈이 시작됩니다. 어린이의 골수는 전체적으로 혈구가 많은데 나이가 듦에 따라 지방세포가 증가합니다. 넙다리뼈 등의 긴뼈에서는 먼쪽부위에서부터 서서히 지방조직으로 바뀌어갑니다. 척추뼈, 흉골, 골반뼈 등 몸 중심부에서는 조혈기능이 유지됩니다. 조혈세포로는 적혈구를 만드는 적모구계 세포, 백혈구를 만드는 과립구·단구계 세포 및 림프계 세포, 혈소판을 만드는 골수거핵구가 있고, 이 3 계통은 모두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되어 생산된..
2019. 8. 11.
기관·기관지·폐·흉막의 질환(5-5)-폐색전증, 폐종양, 흉막염, 기흉, 흉막악성중피종
기관·기관지·폐·흉막의 질환 7. 폐색전증(Pulmonart embolism) 폐동맥에는 전신의 정맥혈이 흐르기 때문에 대순환계 정맥 내의 색전이 혈류를 따라서 허파에 도달하여 폐색전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다른 부위의 정맥에서 발생한 혈전이 폐동맥 색전을 일으키는 혈전색전이 많으며(폐동맥을 폐색함), 그 밖에도 지방 색전, 골수 색전, 종양 색전, 공기 색전, 양수 색전 등이 나타납니다. 혈전색전은 누워 있는 상태의 환자의 깊은다리정맥이나 골반 정맥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누워있는 상태의 환자에게서는 다리 마사지 등으로 깊은 정맥에서의 혈전 형성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방세동에서 발생하는 오른방실의 혈전에서 유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색전이나 골수 색전은 외상에서 유래하며, 공기 색..
2019.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