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임신. 출산 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15 Page)
본문 바로가기

공부/임신. 출산 공부116

고위험 신생아 - 미숙아 고위험 신생아 1. 성숙장애 1) 미숙아 국제보건기구(WHO)의 정의에 의하면, 조산아 혹은 미숙아는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영아를 의미합니다. 출생시 체중이 2,500mg 이하인 저출생 체중아의 2/3는 미숙아입니다. 미숙아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신생아 합병증 빈도도 미숙아에서 가장 높습니다. 심각한 선천성 기형과 같은 다른 위험 요인도 미숙과 관련하여 흔히 나타납니다. 미숙은 일반적으로 신생아 사망의 단일 원인으로 가장 큰 것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1) 원인 미숙아의 원인은 확실히 알려진 바 없으나, 일반적으로 임산부의 건강 및 영양 상태가 양호하고, 산전간호를 받는 중상류 계층에서는 발생빈도가 낮고, 하류계층에서는 발.. 2020. 1. 13.
신생아 건강문제 - 갈락토즈혈증, 주산기 환경요인과 관련된 문제 신생아의 건강문제 3. 선천성 대사장애 3) 갈락토즈혈증 갈락토즈혈증은 선천성 탄수화물 대사장애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입니다. 간의 효소인 galactose-1-phosphate uridyitransferase가 결핍되어 galactose가 glucose로 전환되지 못하므로 galactose와 galactose-1-phosphate가 체내에 축적됩니다. 임상증상은 생후 즉시 성장 부진, 구토, 간비종대, 황달, 설사 등이 나타납니다. 수개월 후에 백내장, 정신 운동 발육 지연을 보이며, 결국은 간경변, 산혈증, 아미노산뇨 등이 나타나며 결국 사망합니다. 감염에 약하며 대장균에 의한 패혈증이 되기 쉽습니다. 요중에는 galactose가 있어서 요의 환원 반응이 양성입니다. 간기능이 저하됩니다. .. 2020. 1. 12.
신생아 건강문제 - 페닐케톤뇨증 신생아의 건강문제 3. 선천성 대사장애 2) 페닐케톤뇨증 (1) 병태생리 페닐케톤뇨증은 Phenylalanine을 Tyrosine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Phenylalanine hydroxaylse의 활성이 선천적으로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Phenylalanine과 그 대사 산물이 축적되고, 또한 Tyrosine이 부족하게 되어 지능장애, 담갈색 모발, 피부의 색소 결핍을 초래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성 질환입니다. 발생빈도는 미국의 경우 1/4,000~12,000dlau, 백인에 주로 침범되고, 미국이나 북유럽에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2) 임상증상 페닐케톤뇨증의 임상증상은 성장장애, 잦은 구토, 불안정, 행동과다, 피부습진, 모발색 바뀜,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포함합니다. 연장아에서는 깜짝 놀라거나 .. 2020. 1. 11.
신생아 건강문제 -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생아의 건강문제 3. 선천성 대사장애 1) 선청성 갑상선기능저하증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혹은 크레티니즘은 많은 원인 요인을 가지고 있고,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으로 올 수 있습니다. 영구적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발달장애나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효소 결핍 혹은 드물게 뇌하수체 기능장애가 원인입니다. 일시적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은 모체에게 Antithyriod 약제나 천식진해제를 투여했을 때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어 나타납니다. 많은 미숙아에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미성숙으로 인해 출생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일과성이고 치료가 필요 없습니다. 갑상선호르몬 결핍증상은 어떤 경우에는 심하고, 조기에 나타나나 어떤 경우에는 수개월 혹은 수년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202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