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임신. 출산 공부116 신생아 건강문제 - 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의 건강문제 2. 생리적 요인과 관련된 문제 1)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액 중에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현상을 지칭하며, 황달, 즉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 흔하며, 대부분의 예에서 비교적 경한 경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신생아의 황달은 대부분은 간접 빌리루빈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데, 간접 빌리루빈은 신경에 손상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병리적 상태로 간주하여야 합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비포합 혹은 포합 빌리루빈의 증가로 나타납니다. (1) 병태생리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로 인한 혈색소의 파괴산물입니다. 적혈구나 파괴될 때 파괴산물이 순환 내로 분비되어, 거기서 혈색소가 Heme와 globin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 2020. 1. 5. 신생아의 건강문제 - 신생아 피부 문제 신생아의 건강문제 2. 신생아의 피부 문제 1) 중독성 홍반 중독성 홍반은 Fleabite dematitis 혹은 신생아 발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생후 2일 이내에 30%의 신생아에서 나타나서 자연 소실되는 원인 불명의 전신성 홍반성 발진입니다. 발진은 단단하고 직경이 1~3mm 정도이며, 창백한 노란색이거나 흰색의 구진 혹은 농포로 나타나는데, 주로 가슴, 등, 얼굴, 둔부, 사지에 나타나나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어느 부위에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진은 울 때 더 명백해집니다. 전신 증상은 없으며, 색소 침착없이 5~7일 후에 자연 소실되므로 치료할 필요는 없습니다. 2)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모닐리아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신생아에 흔합니다. 원인균은 cadida albicans로, 분만.. 2020. 1. 4. 신생아 출생손상 - 골절, 마비 신생아의 건강문제 출생손상 3) 골절 쇄골 골절이 가장 흔한 출생 시 손상입니다. 몸무게가 큰 영아의 두정위 혹은 둔위 분만 시에 올 수 있습니다. 골절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팔을 움직이지 못하면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골절된 쪽 팔은 모로반사가 없거나 국소 부종이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 웁니다. 골절된 골편이 서로 부딪힐 때 나는 마찰음인 염발음이 흔히 들리고, X-선 사진으로 골절 부위를 볼 수 있습니다. 대퇴골과 같은 장골의 골절은 X-선으로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골형성 부전증은 드물지만 골절이 있는 신생아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른 검사를 해 보아야 합니다. 두개골 골절은 드뭅니다. 나이든 아동보다 광화작용이 덜 되어 있고, 압축성이 더 좋기 때문에, 분만 도중 산도에 맞출 수 있도록 머리 윤.. 2020. 1. 3. 신생아의 출생손상 - 연조직 손상, 두부손상 신생아의 건강문제 출생손상 출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출생손상은 대부분 신새아악 크거나 둔위분만이거나 인위적 만출 또는 능숙하지 못한 사람이 분만을 개조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손상은 사소한 것이며 며칠 내에 자연 소멸됩니다. 그러나 어떤 것은 사소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중재를 필요로 하는 것도 있습니다. 또한 어떤 것은 매우 심각해서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1) 연조직 손상 분만 과정에서 여러 유형의 연조직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두와 골반 불균형일 때 보통 발생합니다. 두정위 분만에서 겸자를 사용하는 경우 신생아 얼굴의 양옆에 겸자와 같은 모양의 변색이나 찰과상이 생길 수 있고, 둔위 분만시 선진부에 점상출혈이나 반상출혈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난산이나 급속 분만 후에 두부압박이 .. 2020. 1. 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