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본문 바로가기
공부/정신건강

우울증,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by 호아Hoa 2022. 1. 12.

우울증,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우울증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된 정신건강문제 중 하나입니다. 우울증 중등도에 따라 경 우울증, 중등도 우울증, 중증 우울증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특성

 

(1) 기분

대부분의 우울 장애 대상자는 스스로 우울하다고 표현합니다. 슬픔을 느끼며 혼자 눈물을 흘릴 때도 많습니다. 이런 우울한 기분은 아침에 눈 뜨고 나서가 가장 심하고, 오후 혹은 저녁으로 갈수록 덜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우울하다기 보다는 불안하거나, 아무런 기분을 느끼지 못한다고 이야기하는 대상자들도 적지 않습니다.

 

(2) 사고내용

우울 장애 대상자들은 과거의 일을 후회하거나 다른 사람을 원망합니다. 미래도 비관적으로 느껴지며 스스로 생각해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일까지도 걱정을 합니다. 매사에 자신감이 없고 전에는 힘들지 않았던 일들이 힘겹게만 느껴지고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자신이 가족 혹은 주변사람들에게 짐만 되는 쓸모없는 인간이며 이렇게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는 생각으로 자살을 기도하기도 합니다. 주변사람들이 자신을 비웃거나 놀린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며, 이런 증상이 발전하면 피해망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몹쓸 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는 건강염려증, 신체적 이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신체망상, 사실과는 달리 자신이 가진 것도 없고 곧 망할 것이라고 믿는 빈곤망상, 이 세상에 가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허무망상 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3) 사고과정 및 인지증상

사고의 속도가 느려져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고 말을 들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대상자는 건망증이 심해졌다거나 기억력과 집중력이 감퇴되었다고 표현합니다. 글을 조금만 읽어도 앞에 무슨 말이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서 다시 읽기를 반복하며, 다 읽어도 무슨 내용인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호소합니다.

 

(4) 지각장애

이인증(depersonalization) 혹인 비현실감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환각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신체증상

몸에 기운이 없으며 항상 피곤합니다. 몸이 천근만근 무겁고 말을 듣지 않습니다. 때로는 몸이 굳어서 움직이기 어렵다고 호소하는 대상자도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증상이나 두통, 소화불량, 관절통 등 구체적인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6) 수면과 식욕, 성욕

수면장애는 우울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입니다.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깨며,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들어합니다. 이중에서도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들어 하는 것이 우울증의 대표적인 불면증상인데, 특히 초조가 동반되는 경우 자살을 할 정도로 대상자들을 괴롭힙니다.

일반적으로 식욕이 감소되며 식사량이 감소되고 체중이 감소됩니다. 밥 냄새를 맡기도 싫거나 음식 씹는 것이 모래알을 씹는 것 같다는 호소를 하기도 합니다. 성욕도 감소하여 성생활을 기피하고 성교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수면이나 식사량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는데, 하루 종일 잠만 자고 싶다거나 깨기가 싫다고 표현합니다. 폭식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체중이 심하게 증가하기도 합니다.

 

(7) 흥미, 의욕, 관심

외부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며 아무 일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사람 만나기도 싫어지고 바깥출입도 하지 않게 됩니다. 재미있는 일도, 즐거운 일도 없고 의욕이 줄어들어 만사가 귀찮게 됩니다.

 

2) 치료

 

(1) 치료적 환경 제공

대상자의 환경이 위험하거나, 위협적이거나, 개인적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 환경적 중재가 필요합니다. 기분장애 대상자가 자살 위험이 있는 경우, 증상이 급속도로 악화될 때, 적절한 지지체계가 없는 경우 입원을 고려하게 됩니다. 우울증 환자의 경우 항상 자살 가능성 여부를 사정해야 합니다. 우울증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는 회복기가 자살의 가장 위험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자살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와 에너지가 생기게 되기 때문입니다.

 

(2) 치료적 관계 형성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따뜻하며 수용적인 태도로 솔직함, 감정이입, 관심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대상자의 반응이 없고, 초연한 것처럼 보이는 태도에 대해 분노하고 거절당하는 것이 두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믿고 인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울한 대상자에게 과격하거나 경솔한 태도를 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기운 내세요. 모든 것이 좋아질 거예요.” 또는 그렇게 우울해하지 마세요.”등의 말은 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존중하지 못하는 대화로써 오히려 관계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동정심이나 지나치게 동의를 표하는 것은 대상자가 절망과 무력감 같은 감정을 경험하게 되므로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우울증 환자가 비록 말을 하지 않더라고 함께 있어주고 시간을 보낼 때 라포 형성이 가장 잘 이루어집니다.

 

(3) 신체적 활동

우울증이 심할수록 신체적 활동이 중요합니다. 우울증이 심해지면 외모에 소홀하게 되고 행동이 느려집니다. 독립적으로 목욕이나 옷 입는 일들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대상자를 재촉하거나 대신해주는 것은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식욕이 없고 체중이 감소되는 대상자는 식사양상을 관찰해야 합니다. 식사하는 동안 대상자와 함께 있어 주고, 좋아하는 음식을 앞에 놓아주어 조금씩 자주 먹도록 권유합니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여 관찰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합니다.

수면장애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대상자의 체력 상태에 따라 신체적 활동을 계획합니다.

 

(4) 약물치료

우울증 대상자의 기분을 개선시키기 위해 항우울제를 사용합니다. 우울증에 있어서 약물 치료의 성공률은 60~80%이나 몇 가지 제한점이 있습니다. 치료에 대한 효과가 투약 2~6주 후에야 나타나며 부작용으로 인해 일부 대상자들은 약물치료를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5) 감정 표현하기

우울증 대상자들은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고,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망, 슬픔, 분노, 죄책감, 불안 등의 감정에 대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우울증 대상자에게 회복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하고 반복적인 확신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울증에 대한 치료 과정은 몇 주 혹은 몇 개월이 소요되지만 결국 좋아질 것임을 조용하고 명료하게 인식시킵니다. 회복에 대한 확실한 믿음이 있다면 대상자는 좀 더 인내할 수 있게 됩니다.

 

(6) 인지치료

인지치료는 대상자의 사고를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둡니다. 우울증 대상자는 부정적인 생각이 지배적이어서 자신이 성공적으로 해낸 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립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대상자는 자신의 부정적인 생각을 확인하고 이를 멈추거나 희망적인 다른 생각으로 대치시킴으로써 부정적인 생각을 감소시켜 주어야 합니다. 동시에 개인적인 강점과 장점, 성과, 기회들을 검토함으로써 긍정적인 사고를 증가시킵니다.

 

(7) 행동변화

우울증 대상자의 행동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에 초점을 두고 접근해야 합니다. 첫째,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정도의 기대와 목표를 설정해야 하고, 긍정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둘째, 이미 끝난 상황이나 과거에 실패한 사실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앞으로의 목표에 관심을 집중해야 합니다. 셋째, 긍정적 강화는 실제로 이루어진 것에 근거를 두어야 합니다. 현실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방법으로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합니다. 우울증 대상자들은 자신에게 몰두하는 에너지를 바깥 세상에 대한 관심으로 바꾸고, 활동을 점차적으로 늘여 가도록 해야 합니다.

 

(8) 사회기술

사회화는 위축과는 상반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우울을 조절해 주고지지, 인식, 수용과 승인 등의 사회적인 강화를 통하여 자존감을 증진시킬 수도 있습니다. 부적응적인 감정반응을 가진 대상자들은 사회적 상호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므로 사회기술을 증진시켜 주어야 합니다.

 

가족치료

우울증 대상자들은 가족치료와 그룹치료가 효과적입니다. 대상자의 인간관계 문제는 가족 유형의 관점에서 설명되며 모든 가족구성원들이 책임을 공유해야 합니다.

친구나 배우자는 대상자의 부적응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대상자는 관심과 이차적인 이득을 얻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족 치료의 목표 중 한 가지는 가족들이 대상자의 부적절한 감정 반응에 대해서는 관심을 주지 말아야 하고 적절한 감정반응에 대해서는 더 잘할 수 있도록 강화시켜주는 것입니다.

 

집단치료

집단치료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 혹은 조증을 가진 대상자들의 집단치료는 그룹의 정체감과 개인의 강점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기가치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