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란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란

by 호아Hoa 2019. 6. 12.

경계성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란 인격 장애의 일종입니다. ‘정신병과 신경증의 경계’라는 의미로 붙여진 질환명인데, 현재는 독립된 질환 단위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나 자기감정이 불안정하고 충동적 자살기도(대량 복약 및 손목 자해가 많고 그 대부분이 히스테리적)를 반복하며 약 10%는 자살에 이르게 됩니다.

 

환자의 대부분이 ‘무언가에 버림 받는 불안’이 심해 타인에게 매달리며 의존하려고 합니다. 어리광을 부리는가 싶다가도 손바닥을 뒤집듯이 냉정한 태도를 보이는 등 주위 사람들을 조정(농락)하는 것도 특징적입니다. 안정적인 인간관계를 쌓기가 어렵고, 언제나 강한 고독감 속에 있으며 기분장애 및 과식, 성적 일탈, 좀도둑질, 약물의존 등에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들은 자기 존재에 대한 불안감에 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주위 가족이나 친구들이 섣불리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금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청년기에 많고 환자 수는 여성이 남성의 2배로 많으며 체질에 기인한다는 설과 유아기 학대 및 외상 체험 등에 기인한다는 설이 있습니다.

우울증과는 달리 경계성 인격장애는 감정의 양극단을 왔다 갔다 하기 때문에 조울증과 혼동되기도 합니다만, 일정 기간 반복해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조울증과는 달리 경계성 인격장애는 지속적으로 그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는 약물 요법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상담(Counseling)이나 행동요법(Behavioral therapy)이 중심이 됩니다.

 

흥분과 자해 행위, 충동 행위를 보이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에게는 파손 행위나 자살의 위험이 있으므로 혼자 나서지 말고 다른 사람과 함께 지켜봐야 됩니다. 그리고 잘못된 인식에 근거한 행동의 경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흥분상태가 가라앉으면 현실로 눈을 돌리게 하고 그 행동을 일으키기까지의 감정을 공유하도록 합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문제행동은 허용하지 않는다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인격장애

정신생활의 표현으로서 나타나는 성격이 주위의 사회환경과 적응이 안 되거나, 곤란할 때 손상을 입게 되는 상태입니다. 인격장애 중에서는 경계성 인격장애가 많으며, 대부분이 10~20대 여성, 손목 자해, 대량 약물 복용과 같은 자살기도나 자살행위를 반복합니다. 또한 기질성 장애가 기저에 없으며 신경증도 아니고 정신병도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합니다. 인격장애는 치료가 어려우며, 집단정신요법, 개인 정신요법, 항정신병제나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에 의한 약물요법을 주로 실시합니다.

 

● 인격장애자의 특징

인격장애자의 특징으로 환자는 의료진의 반응을 보고 ‘적인가 내편인가’하는 의미를 부여해서 안심하거나 또는 자신의 생각대로 상대를 움직여 애정을 확인하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환자의 조정에 말려들면 의료진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 분열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환자가 지금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가?’를 협의를 통해 함께 이해하고, 의료진 전원이 일관된 태도로 환자를 대하여, 환자가 사회 속에서 적응할 수 있는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인격장애의 분류

A군 : 가끔 기묘하고 특이하게 보이는 사람

편집형 인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광범위하고 근거 없이, 사람들의 행동이 자신에게 고의로 모욕하고 위협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경향

분열성 인격장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사회관계에 대한 무관심과 함께 감정적 체험 및 표출범위가 좁은 점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패턴

분열형 인격장애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관념, 외관, 행동 등의 특이함과, 대인 관계 상 결함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패턴

B군 : 가끔 연극적이고 감정적이며 불안정하게 보이는 사람

반사회적 인격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타인의 감정이나 기분을 무시하고 무책임함, 사회적 의무, 규범을 무시하고,. 대인관계 유지 능력 부족, 인내력이 약하고 공격적임. 범죄인에게 많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전반적으로 자신에 대한 이미지가 불안정하고, 타인을 극도로 평가절하 또는 이상화하는 등 불안정한 대인관계, 감정 기복이 심하여 행동이 충동적이고 예측 곤란.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연극적인 과장된 정서표현, 사람의 관심과 주의를 자신에게 끌려고 지나치게 유혹적으로 꾸미거나 시선을 집중시키는 행동을 계속, 자아 중심적이며 주위 사람과 환경에 쉽게 영향 받음.

자기애적 인격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타인의 평가에 대한 과민성, 타인의 요구나 감정을 불인정, 공감능력의 결여. 자신이 타인보다 뛰어나다고 믿으며 자신의 능력, 재능에 대한 과대 포장, 특권 의식, 자신의 목적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며 속임.

C군 : 가끔 불안으로 떨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

회피성 인격장애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전반적인 대인관계 불안, 나쁜 평가에 대한 공포, 겁을 내는 패턴, 열등감 등으로 대인관계를 필요로 하는 사회생활 회피

의존성 인격장애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전반적으로 의존적이며, 혼자 있을 때 무기력감을 느끼고 자신의 결정을 타인에게 맡김. 복종적인 행동 패턴

강박성 인격장애

(Obesessive personality disorder)

전반적인 완전주의와 융통성 결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