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발생하는 귀와 눈의 질환에 대해서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

자주 발생하는 귀와 눈의 질환에 대해서

by 호아Hoa 2019. 7. 9.

귀의 질환

귀는 소리를 느끼는 청각과 신체의 회전, 가속도, 경사 등을 느끼는 평형감각을 담당하며, 바깥귀(외이), 가운데귀(중이), 속귀(내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중이염 (Otitis media)

중이염(가운데귀염)이란 귀인두관, 고실, 꼭지돌기(유양돌기)의 함기봉소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귀의 통증, 귓물, 난청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1) 급성중이염(Acute otitis media)

급성 중이염의 원인으로는 용혈사슬알균, 폐렴알균, 포도알균 등 세균감염에 의한 것이 많습니다. 감염 경로로는 귀인두관(이관), 바깥귀길 및 혈행성 감염이 있는데 귀인두관을 통한 감염 파급이 가장 흔합니다. 삼출물이 가운데귀공간(중이강), 귀인두관에 고이고 고막은 부종상태입니다.

 

2) 만성중이염(Chronic otitis media)

만성 중이염은 코인두염, 아데노이드 비대 등에서 발병하며, 귓물(이루), 난청이 지속되고 고막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행이 되면 병변이 고실 주위에 이르러서 만성 꼭지돌기염(우양돌기염), 내이주위염, 추체염 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만성중이염의 특수한 형태로는 진주종성 중이염이 있으며, 벗겨진 편평상피가 백색 진주와 같은 덩어리(진주종)를 형성합니다. 진주종은 더욱 더 진행이 되면 주위의 뼈조직을 파괴하면서 성장하여 전음성 난청이나 안면신경마비, 어지러움증, 머리내 합병증 등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주종일 경우에는 수술하여 치료합니다.

 

2. 메니에르병(Meniere disease)

메니에르병은 발작성 돌발성 현기증(갑자기 발증하는 어지러움), 감음성 난청, 귀울림을 3개의 징후로 하여 오심 구토를 일으키는 난치성의 속귀 질환입니다. 특징적으로 속림프관의 압력증가를 나타내는데, 그 원인은 불명확하며 알레르기설, 염·수분대사 이상설, 자율신경긴장 이상설 등이 있습니다.

 

눈의 질환

눈은 안구와 눈 부속기관(눈꺼풀, 눈물기관 등)으로 분류되며, 안구는 각막, 홍채, 섬모체(모양체). 맥락막, 망막 및 수정체와 유리체로 구성되어 있고 시각을 담당합니다.

 

1. 녹내장(Glaucoma)

녹내장은 안내압의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안방수의 흐름 장애로 인해서 안내압이 상승합니다. 고안압의 결과, 시각기능의 장애를 일으켜 실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내장은 원발성 폐색우각녹내장, 원발성 개방우각녹내장, 선천성 녹내장, 속발성 녹내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발성 폐색우각녹내장은 전방우각이 홍채의 뿌리부위에 의해서 폐색되었기 때문에 안방수가 슈렘관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해서 발병합니다. 급성 원발성 폐색우각녹내장에서는 급격한 눈의 통증, 두통, 시력저하, 오심 구토, 홍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한편, 원발성 개방우각녹내장에서는 우각은 개방되어 있으나 안방수 유출로의 어딘가에 장애가 있어서 발병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선천녹내장(Congenital glucoma)은 대부분은 양측성으로 양쪽 눈에서 발병하고 빛에 대한 과민함 그리고 눈물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합니다. 선천녹내장에서 안압이 상승하여 각막이 늘어나서 커진 상태를 소눈(우안)이라고 합니다. 속발성 녹내장은 홍채 모양체염, 외상, 종양 등이 원인으로 이차적으로 유출로가 장애를 일으켜서 발생합니다.

 

치료

축동제를 누에 넣고 방수 유출을 촉진하여 안압을 낮춥니다. 그 외에 교감신경·β수용 차단제를 누에 투여하고 탄산탈수효소 저해제를 복용합니다. 수술요법, 레이저 치료법도 시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선천녹내장에서는 수술치료가 원칙입니다.

 

2. 백내장(Cataract)

백내장은 조직 내액과 단백질 저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정체의 불투명 혼탁입니다. 선천적으로는 풍진바이러스의 감염이나 태생기의 수정체 형성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후천적으로는 외상이나 이물질, 장기 스테로이드 투여, 방사선, 당뇨병 등으로 인해서 일어납니다. 노인성 백내장은 나이가 듦에 따라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것으로 90세 이상 대부분의 노인에게서 나타나며 시력장애의 원인이 됩니다.

 

치료

혼탁해진 수정체의 적출술 및 렌즈 삽입이 이루어집니다.

 

3. 결막질환

결마겡서 발생하는 염증질환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결막염은 그 원이넹 따라서 분류합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포도알균, 폐렴알균 등의 세균감염에 의해서 일어나며, 유행성 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인두결막열은 수영장에서 감염되는 경우가 많이 깨문에 수영열이라고도 불리며 아데노바이러스 3형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트라코마(Trachoma)는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각 질환에 따라서 다르지만 주요 증상에는 결막의 충혈, 눈꼽, 눈물, 이물감 등이 있습니다.

 

4. 망막질환

 

1)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에 합병하는 전신의 미세혈관병증의 하나입니다. 고혈당으로 인해서 망막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거나 폐색을 일으켜서 발생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실명 원인 제 1위입니다.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중에서도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은 완만하게 이루어지는데 병변의 진행과 함게 망막 유리체의 출혈이 반복되어 말기에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 되고 망막박리를 합병하여 실명에 이르게 됩니다.

 

2)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란 망막의 시각세포층(망막 제9층)이 색소상피증(망막 제10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말합니다. 증상은 시야가 갑자기 어두워져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됩니다. 맥락망막염, 정맥폐색, 종양 등이 원인이 됩니다.

 

3) 망막모세포종(Retinoblastoma)

망막모세포종(Retinoblastoma)은 소아의 안구내 악성종양으로서 빈도가 높습니다. 어린이 환자의 동공은 빛의 정도에 따라서 하얗게 빛납니다. 대부분은 유전성입니다. 비유전성의 경우(약 40%) 항상 한쪽에서만 발생합니다. 시각신경 침윤 유무가 예후를 좌우합니다.

 

4) 유두부종(Papilledema)

머리속압력의 항진에 의하여 시각신경 유두에 부종이 나타나는 것을 유두부종(Papilledema)이라고 합니다. 뇌종양, 수막염, 머리속출혈 등으로 인해서 발생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