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

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

by 호아Hoa 2019. 7. 10.

피부질환

피부(Skin)는 인체의 표면을 덮는 중량 약 3,000g의 장기로서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피부는 표층부터 표피, 진피, 피부 밑 조직(피하조직)의 각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피는 깊은 층에서부터 순서대로 바닥(기저층), 가시층(유극층), 과립충, 투명층, 각질층으로 구성됩니다. 바닥 세포 사이에는 멜라닌 과립을 생산하는 멜라닌 세포가 있습니다. 진피는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피와 피부 부속기관을 지지하며, 이러한 것들의 영양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피부 밑 조직은 진피 깊은 층 아래에 교원섬유가 성긴 그물구조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피부빝지방조직(피하지방조직)이 있습니다.  피부 부속기관에는 털, 기름샘(피지선), 땀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습진(Eczema)

 

습진(Eczema)은 주로 표피에서 발생하는 염증으로서 구진, 잔물집, 고름 물집(농성 수포), 인설, 괴사 딱지(가피) 등의 발진이 피부에 모여서 발생하며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1) 접촉피부염(Contact dermatitis)

자극물질이나 감작물질 등이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표피 내에 림프구가 침윤하여 해면상 잔 물집을 주 병변으로 하는 염증반응을 접촉피부염이라고 합니다.

 

 2)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아토피피부염은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기 쉬운 유전적 소인(아토피 소인)을 가지며 IgE 항체를 쉽게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꽃가루, 동물의 털, 음식물 등 여러 가지 환경 항원에 대해서 과민하게 반응합니다. 특징적인 습진 분포와 완화·악화를 반복하며 만성 반복성 경과를 특징으로 하는 소양성 피부질환입니다. 종종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킵니다.

 

2. 두드러기(Urticaria)

 

두드러기(Urticaria)는 피부의 일시적인 부종과 가려움증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어린이에게 많고 또한 여름철에 많습니다. 급격한 표피 하 부종으로 시작되며, 경계가 뚜렷하며 편평한 부종성 종창(팽진)이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물리적 자극, 심리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팽진은 몇 분 또는 몇 시간 내에 흔적이 없어지고 소실되지만 잇따라서 다른 장소에서 새로운 팽진이 발생합니다. 진피 혈관 주위의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분비되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한 상태입니다.

 

3. 여드름(Acne)

 

여드름(Acne)이란 청소년 남녀의 얼굴, 가슴부분, 등부분의 털구멍(모낭)의 분포와 일치해서 쌀 반알 정도의 크기로 빨갛게 구진이 나타나는 것으로 그 가장 윗부분에 고름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사춘기에는 기름샘으로부터 다량의 피지가 분비됩니다. 이에 털구멍(모공), 기름샘 배출관의 이상 각화가 더해져서 피지가 저류함으로써 발생합니다.

4. 백선(Trichophytosis)

 

백선(Trichophytosis)은 백선균이 표피의 상층부에 기생함으로써 발생하는 표제성 진균중의 하나입니다. 손바닥이나 발바닥, 발가락 등에 얇게 쌀 반 알 크기에서부터 한 알 크기 정도의 물집 또는 고름이 나타나는 한포상 백선을 무좀이라고 합니다. 병터로부터 인설이 떨어져 나와서 감염원이 됩니다. 발 닦개나 슬리퍼 등을 통해서 공동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감염됩니다.

 

5. 피부의 종양

 

 1)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피부의 악성종양 대부분은 표피의 편평상비세포로부터 발생하는 편평상피암입니다. 전구 병변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유전성 피부질환인 색소성 피부 건조증, 열상의 반흔, X 선상 조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중고령자의 경우에는 빛에 노출된 부분에서 호발 합니다.

 

 2) 멜라닌 생산 세포에서 유래한 병변

 

  ① 색소성 모반(Pigmented nevus)

색소성 모반(Pigmented nevus)이란 암갈색 또는 흑갈색의 멜라닌에 의한 색소반으로서 편평하거나 조금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며, 일반 적으로 점이라고 부릅니다. 조직학적으로는 모반 세포가 진피 내 또는 표피와 진피 경계부에 집단을 형성하여 나타납니다.

 

  ②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이란 멜라닌 형성 능력을 가지는 멜라닌 세포에서 생긴 악성종양을 말하며, 얼굴, 다리(특히 발바닥, 발가락)에 호발 합니다. 매우 악성도가 높은 경우가 많고 초기부터 림프성, 혈행성으로 광범위하게 전이되며, 말기에는 전신 장기에 전이합니다. 일반적으로 흑색의 결절을 만들고 주변부가 검은색으로 뒤덮이게 되며 무색소성 흑색종인 경우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