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기형 아동
4. 근골격계 기형
2) 선천성 만곡족
만곡족은 발목과 발이 정상적인 모양이나 위치에서 벗어나 뒤틀려 있는 경우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만곡족은 발 앞부분의 내전, 발목의 첨족, 발꿈치의 내반증이 특징인 선천성 복합기형입니다.
내반족 : 내반 또는 안쪽으로의 굴곡
외반족 : 외반 또는 바깥쪽으로의 굴곡
첨족 : 발이 바닥면으로 굽은 척측 굴곡
종족 : 발이 발등 쪽으로 굽은 배측 굴곡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만곡족의 유형은 발이 발바닥 쪽과 안쪽으로 향한 복합적 기형인 내반첨족 만곡족이 약 95%를 차지합니다.
일측성 만곡족이 양측성 만곡족에 비하여 더 흔하며 단일결함으로 나타날 수 있고, 염색체 이상, 관절 만곡증, 뇌성마비, 이분척추 등과 같은 신경근육계 기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1) 병태생리
만곡족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빈도가 더 높으며, 출생 1,000명당 1~2명의 빈도로 나타나고 남아가 여아보다 2배 정도 많습니다. 만곡족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궁내에서 비정상적인 태아의 체위와 제한된 움직임에 기인된 것으로 봅니다.
또 다른 요인으로 배아기에 억제되고 비정상적인 발달과 관계 있다고 봅니다. 초기의 억제된 발달은 경직성 기형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하여 자궁 내 자세에 의한 기계적인 압력은 더 유연성 있는 기형의 원인이 됩니다.
2) 사정
만곡족은 출생시 분명하게 나타나므로 쉽게 발견되지만, 수동적으로 교정될 수 있는 자세에 의한 기형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만곡족은 고정적이기 때문입니다. 신경근육이 관련된 하지의 마비성 변화는 내반첨족의 기형을 초래합니다.
3) 치료
만곡족은 관찰되는 즉시 치료를 시작하는데, 변형의 교정, 정상적인 근육의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교정 유지, 변형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계속적인 관찰을 실시합니다. 치료 화가가 쉽게 나타는 경우가 있는 반면 장기 치료 후에 반응을 나타내거나 노력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반첨족의 교정은 출생 직후 시작하고, 교정될 때까지 손조작으로 발의 위치를 교정하고 석고붕대로 연조직을 강화하며 뼈를 정렬 상태로 합니다. 영아 초기의 급속한 발육에 맞추어, 손조작과 석고붕대 적용을 1~2주 동안은 며칠마다, 그 후에는 1~2주 간격으로 반복합니다. 석고붕대를 지속하면 발 내측의 촘촘한 구조를 점차적으로 이완시켜 주고 발 외측의 느슨한 구조를 점차적으로 수축시켜 줍니다. 그러므로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때까지 석고붕대를 합니다. 석고붕대에 의한 교정은 3~6개월이 지나면 안정됩니다. 수술의 목적은 뼈를 재위치시키고, 근육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석고붕대로 2~3개월간 뼈와 연조직이 치유된 이후에 수술합니다. 수술 후 3개월 정도 정형외과적 교정신발인 Denis Brown splint를 적용합니다.
'공부 > 임신. 출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의 성장발달 - 감각발달 (0) | 2020.02.15 |
---|---|
영아의 성장발달 - 신체의 양적 변화 (0) | 2020.02.14 |
선천성 기형 아동 - 선천성 대퇴관절 형성장애 (0) | 2020.02.12 |
선천성 기형 아동 - 소두증, 뇌수종 (0) | 2020.02.11 |
선천성 기형 아동 - 이분척추 (0) | 2020.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