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식도의 질환 - 구강·식도의 구조, 설암, 구강암, 식도염, 식도정맥류, 식도암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

구강·식도의 질환 - 구강·식도의 구조, 설암, 구강암, 식도염, 식도정맥류, 식도암

by 호아Hoa 2019. 8. 3.

구강·식도의 질환

구강·식도의 구조

◎ 소화계통

소화관은 구강으로부터 항문에 이르는 전장 약 9m의 관모양 기관입니다. 이 소화관과 간, 담낭, 담관, 췌장 및 구강샘을 총칭하여 소화계통이라고 하며, 음식물의 소화, 흡수, 대사, 배설을 담당하는 일련의 기관입니다.

 

◎ 소화관벽

소화관벽은 원칙적으로 점막, 근육층, 바깥막(외막) 또는 장막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막은 구강으로부터 식도 및 항문의 내강은 편평상피에 의하여, 위로부터 직장가지는 원주상피에 의하여 뒤덮여 있습니다.

 

◎ 식도

식도는 성인의 경우 약 25cm 길이로 가슴세로칸부위(종격부)에 위치하고 기관의 뒷부분을 거의 직선상으로 주행합니다. 10~11번째 흉추 높이에서 가로막을 관통하여 위와 연결됩니다. 이 점막면은 맨눈으로는 하얗게 보입니다.

 

◎ 생리적 협착

식도의 내강은 식도 입구 부위, 기관분지부위, 들분부위(분문부)의 3곳에서 좁아지며 이것을 생리적 협착이라고 합니다. 또한 식도는 위치하는 부위에 따라서 목부위식도, 가슴부위식도, 배부위식도로 나누어집니다.

 

구강의 질환

1) 설암(Tongue cancer), 구강암(Oral cavity cancer)

설암, 구강암의 초기 증상은 혀나 구강 상피조직이 부분적으로 딱딱해지는 경결인 경우가 많습니다. 종종 표층의 편평상피가 증식하여 하얗게 딱딱해지는 백색판증(Leukoplakia)과의 감별이 문제가 되기도 하나 생검에 의해서 진단이 가능합니다.

종양의 조직형은 편평상피암으로 종양세포의 케라틴이 증가하는 각화라고 불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예가 많습니다(고분 화형). 방사선 치료에 감수성이 있는 증례가 많으며, 조사요법이 효과가 있는 예가 많으나 근치술로서 외과적 요법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원발소가 치료된 후 국소 재발하는 예나 목림프절 등의 원격부에 전이되는 예도 많아, 5년 생존율은 약 60%입니다.

 

◎ 발암의 요인

구강 영역의 암은 일반적으로 고령 남성에게서 많으며 흡연이나 음주는 발암의 위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식도의 질환

1) 식도염(Esophagitis)

◎ 분류

식도염은 내시경으로 색조변화염, 미란궤양형, 융기비후형의 3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강산인 위액과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서 발생하는데, 식도 하부에 병변에 나타나서 명치 언저리가 쓰리거나 하는 등의 거부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아래식도 조임근부위의 기능 상실이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식도열공헤르니아, 강피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x)

◎ 발생기전

식도 들문부위에는 위의 정맥과 식도정맥과의 사이를 잇는 연결 가지가 있습니다. 간경변증 등으로 문맥으로부터 간을 통과하여 간정맥으로 흐르는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면 문맥압이 항진합니다. 그렇게 되면, 이 연결 가지에 의한 혈류를 확보하려고 하는 측부 순환에 의하여 식도정맥에 혈액이 많이 흐르게 됩니다. 그 결과 식도정맥은 확장되어서 정맥류가 형성됩니다. 정맥류는 종종 파열되어서 그곳으로부터 대량 출혈이 일어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 치료

치료는 내시경적으로 천자침으로 정맥류에 경화제를 주입하는 내시경적 식도정맥류 경화요법이나, 내시경적으로 정맥을 묶어서 정맥의 흐름을 막음으로 인해서 정맥류를 괴사 탈락시키는 식도정맥류결찰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지혈뿐만 아니라 정맥류 파열의 예방으로서도 사용됩니다. 또한 수술요법으로서 식도이단법, 위상부절제술 등이 이루어집니다.

 

◎ 응급 지혈법

그 외에 식도정맥류가 파열되어서 출혈했을 때에 응급처치로서 풍선에 의한 압박 지혈이 시도됩니다. 이것은 Sengstaken-Blakemore관(S-B관)을 식도로 주입한 후 환부에서 풍선을 부풀리는 것입니다. 이 처치를 실시한 후에 기회를 봐서 수술 또는 경화제 주입을 합니다.

 

3) 식도암(Esophageal cancer)

◎ 발생과 진단

식도암은 60세 이상의 고령 남성에게 많으며 식도 중앙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직학적으로는 거의가 편평상피암입니다. 발생한 암 때문에 식도가 좁아지는 협착에 의해서 일어나는 삼킴 장애에 의하여 처음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X선 검사나 내시경 검사에서의 이상 협착 소견과 세포 진단이나 생검 조직 소견에 의하여 진단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 침윤 및 전이

종양은 내강으로 돌출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식도의 내강을 둘러싸듯이 넓은 범위로 확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육층으로의 침윤이 뚜렷해진 단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도에는 장막이 없기 때문에 근육층을 관통하게 되면 종양은 즉시 기관이나 대동맥이 주행하는 가슴세로칸 내로 파급하게 됩니다. 식도암은 조기발견이 어려운데다가 진행암이 많기 때문에 예후도 불량하여서 5년 생존율은 약 20%로 매우 낮습니다.

 

◎ 치료

치료는 수술요법과 방사선요법이 있으며, 이 두 가지를 병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술에는 종양 부위를 포함하여 식도를 넓은 범위로 절제하여 그 부분을 위나 장을 사용하여 대용하는 식도 재건술이 이루어집니다. 방사선요법은 식도의 어떤 부위의 암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원인

식도암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어서 아직 명확하지는 않고 만성적인 폭음, 폭식, 특히 극도로 뜨거운 음식물과 도수가 높은 알코올의 섭취 등 만성적인 물리적 자극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