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히에로니무스 보스 Hieronymus Bosch
본문 바로가기
공부/예술

[미술] 히에로니무스 보스 Hieronymus Bosch

by 호아Hoa 2019. 6. 30.

히에로니무스 보스 Hieronymus Bosch

자료 출처 : 네이버

화가이자, 판화가인 히에로니무스 보스(Hieronymus Bosch)는 1450년경 네덜란드 브라반트 주의 스헤르토헤보스(s-Hertogenbosch)에서 태어나, 1516년까지 그곳에서 살았습니다. 보스는 1480년경 처음으로 화가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미술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재산 매매가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1500년까지 예술 활동만으로는 생활하기가 어려웠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스는 스헤르토헨보스의 명망 있는 시민 계층에 속했으며, 그로 인해 1486년경 당시 유명한 자선 단체인 ‘마리아 형제회’의 회원 자격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 교단을 위해 보스는 많은 제단화를 제작했는데, 그 작품들 모두 1566년 네덜란드에서 격렬하게 들끓었던 *성상파괴 운동(iconoclasm)의 희생물이 되었습니다.

1500년 이후 그는 도시의 가장 부유한 시민층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마리아 형제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수많은 그림들을 주문받게 되었습니다.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의 <아르놀피니의 결혼>을 소유했던 디에고 데 게바라는 보스의 작품 중 여섯 점을 갖고 있었는데, 그 가운데에는 <일곱 가지 대죄>와 <건초 수레>가 있습니다. 나사우 하인리히 3세(Henry III])를 위해 <쾌락의 동산>이 제작되었는가 하면, 미남공 필립(Philippe)은 1504년에 <최후의 심판>과 보스가 여러 가지 버전으로 그린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도 의뢰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수집가는 스페인의 펠리페 2세(Philip Ⅱ)였습니다.

자료 출처 : 네이버

모사 또는 판화 등을 통해 확인될 수 있는 보스의 많은 작품들은 대부분 분실되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양식상 엇갈리고 있어서 연대기적으로 정렬시킬 수가 없지만, 종교적인 주제로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점이 되는 것은 인문주의적인 세계관과 시민적인 가치관이 녹아 있는 <최후의 심판>의 소재와 은자의 묘사 및 도덕적인 소재들입니다. 보스의 그림들은 그 해석이 엇갈리고 있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염세적이며 세기말적인 세계관을 담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보스가 사용한 모든 소재들이 당시의 기도 문헌을 본보기로 한 것은 아니며, 민속 신앙이나 미신 속에서 발견되는 소재들도 있습니다. 한때 보스가 이단 종파의 추종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후의 심판>이 보스의 연구를 촉진시킨 것만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자료 출처 : 네이버

보스의 작품들은 유럽의 회화들 가운데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의 상징적 표현 방식은 독보적이며 오늘날까지도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습니다. 보스는 중세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고, 모든 성상학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납니다.

사진 출처 : 네이버

※ 성상파괴운동(iconoclasm)

성상파괴 운동(iconoclasm)은 8-9세기 동방 정교회에서 성화상(이콘) 공경이 금지되고 성상을 파괴한 운동이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을 양분시켜 내전을 초래하였으며 로마 교황청은 이를 비난하고 성상파괴 논쟁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비잔티움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교황청에 좋은 명분을 제공하였으며, 다른 요인들과 함께 결국 동서 교회의 분열, 즉 기독교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서로 갈라서는 최초의 교회 분열로 이어졌다.

16세기 스위스 취리히에서도 츠빙글리에 의하여 성상 파괴 운동이 시작되고 취리히 종교개혁이 완성되었다. 성상 파괴 운동 결과, 결국 787년에 콘스탄티누스 5세의 아들 레온 4세의 황후이자 비잔티움의 여제 이레네가 주재한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 의하여 성상 공경의 정통성이 재확인되었다.

그 후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815년에도 다시 제2차 성상 금지령이 발해져서 843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미 소아시아 축에서도 성상파괴에로의 지지는 저하하여 큰 운동은 되지 못하고 결국 성상 공경이라는 신앙전통이 부활하였다.

하지만 가장 큰 결과는 교회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분열로 두 조각이 났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