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리번의 대인관계이론(Interpersonal Development Theory)
본문 바로가기
공부/정신건강

설리번의 대인관계이론(Interpersonal Development Theory)

by 호아Hoa 2021. 2. 18.

설리번의 대인관계이론

설리번의 성격이론은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강조하였습니다. 성격은 인간생활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적인 형태의 대인관계상황이라고 정의하면서 인격의 건전한 발달에는 생물학적 욕구의 만족과 지위 및 타인과의 관계에서 안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설리번은 성격의 구조에서 역동성, 인격화, 인격의 구조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역동성

개인이 보이는 습관적인 태도나 감정, 행동이며 비교적 지속적인 유형을 갖는 인간행동의 최소단위로 대인관계를 특징짓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자기체제는 불안을 피하기 위해서 다양한 보호수단과 감시적 통제를 가한 결과로 형성된 것이며 자아보호 수단이지만 바람직한 성격변화에 주요 방해물 역할을 수행합니다.

◎ 인격화

개인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갖는 영상으로서 욕구의 만족이나 불안의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 태도, 개념들의 복합체입니다. 설리번은 이러한 자기상을 좋은 나, 나쁜 나, 아닌 나로 구분합니다. 좋은 나는 양육자의 보상이나 자애로움 속에서 얻어지는 자기상이며 나쁜 나는 불안의 정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형성되며 아닌 나는 극도의 긴장과 불안, 공포와 관계된 경향 속에서 얻어진 자기상입니다. 아닌 나의 상은 병적인 수준의 심각한 상입니다.

◎ 인지과정

사람이 외부세계와 접촉하여 얻는 지식을 말하며 한 개인의 인지 내용이 사실과 다른경우가 많기 때문에 거기서 긴장이 생기고 불안이 조성되어 심리적 불균형을 경험한다고 보았습니다.

1단계 영유아기(0~18개월)

아동에 대한 수유가 인간최초의 대인관계의 경험이 되며 유아기의 특징은 역동의 출현, 원시적 경험에서 나열적 경험에로의 변화, 양육자에 대한 인격화의 조직을 들 수 있고 신체분화로 인해 어머니로부터 독립화여 스스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2단계 아동기(18개월~6세)

놀이친구를 필요로 하며 언어발달이 종합적 경험의 조직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 결과 보다 일관된 자기 체제를 형성하며 자신을 남성적 역할 또는 여성적 역할에 동일시시키고 소꿉놀이를 많이 하며 이 시기 아동에게 악의적 전환과 승화가 나타납니다. 악의적 전환은 고통스럽고 불안한 대인관계에서 생겨나며 심해지면 타인의 친절한 태도에 대해서도 자신을 격리시켜 퇴행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3단계 소년기(6~9세)

가족 외의 권위자에게 복종하는 경험을 쌓고 경쟁적 협조적 태도를 배우며 집단 의식의 의미를 배웁니다. 내적 통제에 의해 행동을 관리하며 승화양식을 발전시키고 환상과 현실의 차이를 구별하며 삶의 방향에 대한 통찰력이 생기고 목표를 향해 전진합니다.

4단계 청소년 전기(9~12세)

동성의 친구와 친교의 욕구가 특징이며 타인과 순수한 대인관계를 가지기 시작합니다. 의존적 관계에서 벗어나 집단구성원간의 불평, 상호관계 및 상호작용이 있는 동료관계를 형성하며 친한 친구가 없으면 절망적인 고독감에 빠져듭니다.

5단계 초기 청소년기(12~17세)

사춘기의 생리적 변화로 인해 욕정을 경험하며 이런 감정경험에서 욕망의 역동이 나오며 그것이 성격에 작용하고 이성간의 관계발달을 유도합니다. 성적 충동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어떤 행동을 형성할 때까지 초기 청소년기는 계속 됩니다.

6단계 후기 청소년기(18~23세)

선택적인 성적 활동의 형성에서 부터 여러 교육적 단계를 거쳐 개인적 문화적으로 완숙한 개인이 되어 성숙한 대인관계를 확립할 때 까지 입니다. 사회생활 및 시민의 특권, 의무, 책임을 수행하기 시작하고 자아가 완전히 형성되고 승화된 방법으로 충동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7단계 성숙기(24세 이후)

행복감을 느끼고 자아인식을 하고 자아존경을 할 수 있는 인간으로서의 성숙한 인간관계의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시기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