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 출생 직후의 적응
본문 바로가기
공부/임신. 출산 공부

신생아 - 출생 직후의 적응

by 호아Hoa 2019. 12. 19.

신생아 자궁 외 생활에의 적응

 

신생아기에 요구되는 가장 심한 생리적 벼화는 태생기 순환에서부터 독립적인 호흡으로의 전환입니다. 태반 연결의 상실은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능인 완전한 대사 지지의 상실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진통과 분만과정의 스트레스는 태반의 가스교환 양상과 혈액의 산-염기 균형, 심혈관계 활동을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전환 과정을 변화시키거나 태아질식을 증가시키는 저산소증, 탄산과잉증, 산혈증과 같은 요인들은 자궁 외 생활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칩니다.

 

출생 직후의 적응

 

1) 호흡기계

신생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입니다. 자궁 내에서는 간혹 호흡운동이 있는 것 외에는 호흡억제기전에 의하여 호흡이 억제되어 있습니다. 호흡의 시작을 돕는 자극은 주로 화학적 자극과 온도 변화입니다. 혈액의 화학적 요인(낮은 산소 분압, 높은 이산화탄소와 낮은 pH)은 수질의 호흡 중추를 자극합니다. 온도 자극은 따뜻한 자궁 내 환경에서 비교적 찬 외부로 나옴으로써 경험하는 갑작스러운 오한입니다. 온도가 갑작스럽게 변하면 피부의 감각자극이 이를 호흡중추로 전달하여 호흡을 자극합니다. 접촉 자극도 흐흡의 시작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산도를 통과하고 피부를 닦는 것과 같은 접촉은 호흐브이 시작을 자극합니다. 그러나 발바닥을 살작 때리거나 등이나 몸통, 사지를 문지르는 정도는 무방하나, 등이나 엉덩이를 찰싹 때리는 것은 신생아에게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시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더구나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에는 시간 낭비가 되고 뇌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부가적인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공기가 처음으로 폐로 들어갈 때는 폐를 채우고 있던 채액과 폐포의 표면장력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태아폐의 채액은 폐 모세혈관과 림프관으로 흡수되고, 일부 체액은 정상적인 진통과 분만과정에 의해 제거됩니다. 즉 흉부가 산도를 통과할 때 코와 입을 통해 폐로부터 압착된 수분이 배출됩니다. 산도로부터 신생아의 흉부가 완전히 나오면 흉곽이 부풀면서 공기가 상기도로 들어가 소실된 수분을 대체합니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는 흉부 압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부가적인 호흡지지가 필요합니다.

폐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중요한 화학성분은 폐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폐포 상피에서 만들어지는 계면활성제로서, 폐포에서 수분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폐확장을 쉽게 할 뿐만 아니라 호기시 폐포가 폐쇄되어 무기폐로 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2) 순환기계

호흡의 시작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이 혈액을 폐로 흐르게 하는 순환변동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점차적으로 일어나며, , 심장, 대혈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유발됩니다. 태아 순환에서 출생 후 순환으로의 변화는 난원공, 동맥관, 정맥관과 같은 태생 단락의 기능적 폐쇄에 의합니다.

출생 후 호흡을 시작하면 폐가 확장되어 폐동맥압이 급격히 떨어져서 폐로 가는 혈애걀잉 갑자기 증가합니다. 폐로부터 좌심방으로 혈액이 많이 흘러 들어오면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져서 난원공의 ‘valve flap’이 기능적으로 닫혀집니다. 폐동맥압이 떨어짐에 다라 폐동맥과 대동맥의 압력관계가 역전되어 일시적으로 동맥관을 통하여 좌-우단락이 일어납니다. 동맥혈의 산소분압의 상승이 혈관벽을 자극하여 동맥관이 수축되고 좁아져서 생후 10~15시간 내에 동맥관이 기능적으로 닫히게 됩니다.

이러한 태생기관의 변화는 가역적입니다. 즉 신생아의 호흡곤란으로 저산소증이나 산혈증이 있을 때에는 폐동맥의 수축으로 폐동맥의 압력이 높아지고 폐혈류가 감소하면, 좌심방으로 오는 혈류가 감소되므로, 좌심방의 압력이 떨어지고, 난원공을 통하여 우-좌단락을 초래합니다. 또한, 폐고혈압증은 동맥관을 통하여 우-좌단락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특히 주산기 저산소증이나 태변 흡인 증후군 시 자주 합병증으로 나타나지만, 만삭아에서 아무 이유 없이도 오는 수가 있습닏. 울거나 힘을 주는 경우에는 압력이 상승하여 오른쪽 심장으로부터 산화되지 않은 혈액이 동맥관을 통해 단락이 일어나므로 일시적인 청색증이 올 수 있습니다.

폐동맥은 산소의 증가, 이산화탄소의 감소, pH의 증가, 호흡에 따른 폐포의 물리적 팽창에 의하여 확장됩니다. 따라서 폐의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신생아의 출생 직후 적응에 도움을 줍니다. 신생아 초기에는 동맥관을 통한 혈액의 역류 때문에 기능적 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