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과학50 원핵 생물계(2-2), 원생 생물(3-1) ◎ 원핵 생물계 ▶ 남조류 녹조 현상의 주범이 바로 남조류입니다. 수질 오염으로 물속 유기물의 양이 증가하면 남조류들이 증가하면서 폭발적인 번식을 시작합니다. 그 결과 물이 파랗거나 녹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남조류는 세균류와 함께 원핵 생물계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남조류 역시 세균류처럼 하나의 개체는 단세포로 되어 있지만 여러 개체들이 모여서 하나의 군집을 이루며 살고 있습니다. 이름에서 풍기듯이 엽록소 이외에 남조소라는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여 에너지를 얻는 독립 영양 생물입니다. 여기에는 흔들말, 아나베나, 염주말 등이 속합니다. ▶ 비 세포성 단계 원핵 생물계의 생물들은 원핵세포이기는 하나 세포의 구조는 갖추고 있는 생물들입니다. 하지만 세포의 구조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비 세포성 생물들이 있.. 2019. 9. 22. 생물 분류의 실제, 원핵 생물계(2-1) ◎ 분류의 실제 지구 상에는 약 170만여 종의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 생물들에게 각각 이름을 붙여주고 특성에 따라 가족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초기에 린네는 생물들은 2가지로 나누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단세포 생물이 발견되고 식물이면서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생물이 발견되면서 현재는 5계 분류 체계가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원핵 생물계 하나의 원핵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생물. 대부분의 세균이 여기에 속해 있음. 원생 생물계 원핵 생물과 달리 하나의 진핵 세포로 이루어져 있음. 또한 조직 분화가 덜 된 다세포성 진핵 생물도 여기에 속함. 군계 다세포이며,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 않음. 곰팡이와 버섯 등이 여기에 속함 식물계 군계와 마찬가지로 다세포이지만 엽록체를 가지고 있.. 2019. 9. 21. 생물의 분류 단계, 계통과 계통수 ◎ 분류의 단계 분류의 가장 기본의 되는 단계가 종입니다. 하지만 분류의 단계가 여기에서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종들 사이에도 분명한 유사성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유사성을 가진 종들을 묶어서 ‘속’이라고 부릅니다. 또 유사성을 가진 속을 묶어서 ‘과’라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종→속→과→목→강→문→계’의 단계로 점차 범위를 넓혀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동물, 식물로 나누는 것은 동물계와 식물계라는 가장 큰 단위의 분류 체계에 의한 것입니다. 사람을 앞서 말한 분류 단계의 순으로 보면 ‘사람→사람 속→사람과→영장목→포유강→척색동물 문→동물계’입니다. 개와 고양이도 사람과 함께 포유강에 속합니다. 하지만 영장목이 아닌 식육목으로 분류가 됩니다. 그리고 개는 개과, 고양이는 고양잇과로 그 특성에 따라 각각 .. 2019. 9. 20. 생물의 분류, 학명 ◎ 생물의 분류 ▶ 분류의 목적 생물은 무생물과 달리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체계적으로 분류를 해 놓지 않으면 생물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분류를 하는 것입니다. 즉 생물들 사이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생물의 진화상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사람은 유인원과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습니다. 이런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분류를 하면서 생물의 특성을 조사하던 중에 현재의 인류와 유인원 사이에 유사한 점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물을 분류하는 것은 생물학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 분류의 기본 단계 분류의 기준이 되는 것을 분류 형질이라.. 2019. 9. 19.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