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핵 생물계(2-2), 원생 생물(3-1)
본문 바로가기
공부/과학

원핵 생물계(2-2), 원생 생물(3-1)

by 호아Hoa 2019. 9. 22.

◎ 원핵 생물계

남조류

녹조 현상의 주범이 바로 남조류입니다. 수질 오염으로 물속 유기물의 양이 증가하면 남조류들이 증가하면서 폭발적인 번식을 시작합니다. 그 결과 물이 파랗거나 녹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남조류는 세균류와 함께 원핵 생물계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남조류 역시 세균류처럼 하나의 개체는 단세포로 되어 있지만 여러 개체들이 모여서 하나의 군집을 이루며 살고 있습니다. 이름에서 풍기듯이 엽록소 이외에 남조소라는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여 에너지를 얻는 독립 영양 생물입니다. 여기에는 흔들말, 아나베나, 염주말 등이 속합니다.

▶ 비 세포성 단계

원핵 생물계의 생물들은 원핵세포이기는 하나 세포의 구조는 갖추고 있는 생물들입니다. 하지만 세포의 구조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비 세포성 생물들이 있습니다. 바로 바이러스와 리케차입니다.

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0.01~0.25㎛)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포의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DNA나 RNA 등의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을 발현시킬 수 있는 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숙주 세포 안에 기생하여 숙주의 효소 체제를 이용하며 살아갑니다. 따라서 살아 있는 생물체 안에서는 번식이 가능하고 생물체 밖에서는 단백질 결정체로 존재하게 됩니다. DNA를 유전 물질로 갖는 DNA 바이러스에는 천연두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가 있고, RNA를 유전 물질로 갖는 RNA 바이러스에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 담배모자이크 병을 유발하는 TMV, 소아마비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리케차(Rickettisia, 병리학자 리케츠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이러스와 같이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나 구조는 세균과 비슷함)는 바이러스보다 크지만 세균보다는 작습니다(o.3~0.6㎛). 바이러스가 효소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데 반해, 리케차는 자신의 효소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명을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역시나 다른 생명체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야 합니다. 발진티푸스 병원체와 발진열 병원체가 리케차에 속하는 생물들입니다.

 

◎ 원생 생물계

원생 생물계는 원핵 생물계와 달리 진핵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핵막과 세포 소기관을 뚜렷하게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단세포 생물입니다. 원생 생물계는 균계와 식물계, 동물계의 직접적인 기원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생물계입니다. 원생동물은 동물계로, 조류는 식물계로, 점균류는 균계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원생생물들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 원생동물 : 세균이나 유기물을 먹고사는 종속 영양 생물입니다.

- 조류 : 물속에서 광합성을 하는 독립 영양 생물입니다.

- 점균류 : 곰팡이와 같은 형태의 생물입니다.

- 물곰팡이류 : 곰팡이처럼 생겼지만 균류가 아닌 원생생물로 분류합니다.

 

▶ 원생동물

원생동물들은 다른 원생 동물이나 세균을 잡아먹으며 살아갑니다. 즉 종속 영양을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수중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우리 몸은 약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어 원생동물이 체내에 기생하여 질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원생동물은 다시 편모류, 섬모류, 위족류, 포자류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편모란 쉽게 말하면 털입니다. 원생동물의 표면에 한두 가닥이 길게 뻗어 나와 있습니다. 편모가 있어서 편모류들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운동성이 있기는 하지만 유전자 분석 결과 편모류는 원핵 생물과 유연관계가 매우 가까운 생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분열 역시 원핵생물인 세균류와 마찬가지로 이분법에 의해 진행됩니다. 먹이는 다른 원생동물을 직접 잡아먹거나 몸의 표면을 통해 흡수합니다.

편모류에 속하는 가장 대표적인 생물은 유글레나입니다. 유글레나는 비칭 있는 환경에서는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얻지만, 빛이 없을 때에는 다른 미생물을 잡아먹으며 생활합니다. 즉, 동물과 식물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글레나를 식물성 편모류라고 합니다.

이외에도 유글레나와 달리 기생 생활을 하는 동물성 편모류인 트리파노소마가 있습니다. 트리파노소마는 체체파리에 의해 전염되어 척추동물에 기생하며, 수면병을 유발합니다.

'공부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생 동물(3-3)  (0) 2019.09.24
원생 동물(3-2)  (0) 2019.09.23
생물 분류의 실제, 원핵 생물계(2-1)  (0) 2019.09.21
생물의 분류 단계, 계통과 계통수  (0) 2019.09.20
생물의 분류, 학명  (0) 2019.09.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