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의 질환(2-1) - 혈관의 구조, 고혈압
본문 바로가기
공부/건강

혈관의 질환(2-1) - 혈관의 구조, 고혈압

by 호아Hoa 2019. 8. 14.

혈관의 질환

1. 혈관의 구조

맥관계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 림프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맥은 중간막의 구조 차이에 의하여 탄성섬유가 많은 탄성 동맥, 평활근이 많은 근육성 동맥으로 나누어집니다. 탄성 동맥에는 대동맥과 폐동맥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근육성 동맥에는 콩팥동맥과 심장동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맥은 그 굵기에 따라서 대동맥, 중간동맥, 세동맥(소동맥)으로 나누어집니다.

 

◎ 동맥

동맥벽의 구조는 속공간쪽부터 속막(내막), 중간막(중막), 바깥막(외막)의 세 층으로 나누어집니다. 각 층의 경계에는 속탄성 판(내탄성 판), 바깥탄성 판(외탄성 판)이 있습니다. 속막은 정상일 때에는 얇고 주로 한 층의 내피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간막은 두껍고 평활근이나 탄성 섬유가 풍부합니다. 또한 바깥막은 섬유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주위의 결합조직으로 이행하고 그 경계는 불명료합니다. 세동맥은 각 장기 내에서 모세혈관에 이르는 작은 동맥으로 혈관이 작아짐에 따라 벽의 평활근은 드문드문해지고 평활근이 없는 모세혈관으로 이행합니다.

 

◎ 정맥

정맥은 혈압이 낮고 벽도 얇습니다.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하여 곳곳에 판막이 있습니다.

 

◎ 모세혈관, 림프관

모세혈관은 적혈구가 일렬로 통하는 정도의 매우 가는 혈관으로써, 벽은 한 층의 내피세포로 되어 있습니다. 벽의 투과성에 의하여 주위 조직과의 사이에 산소 영양분과 노폐물,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작은 림프관은 구조적으로는 모세혈관과 비슷하며, 형태적으로 두 혈관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굵은 림프관은 정맥 구조와 비슷합니다.

 

2. 고혈압증(Hypertension)

혈압의 고저를 좌우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최종적으로 혈압을 결정하는 요인은 심자으이 박출량과 말초혈관의 저항입니다. 이 두 가지는 순환 혈장량, 심장의 박출량과 말초혈관의 저항을 변화시키는 호르몬의 분비, 말초혈관의 굵기를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움직임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유전적 요인과 환경인자도 관계하고 있습니다.

 

1) 정의

체순환(몸순환)에서의 동맥혈압이 높은 상태를 고혈압증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서는 수축기 혈압(최대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최소혈압) 90mmHg 이상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수축기 혈압 140~149 또는 이완기 혈압 90~94mmHg일 경우에는 경계영역에 있는 고혈압증이라고 합니다.

 

2) 분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증을 본태성 고혈압증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이 특정 질환을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속발성 고혈압증 또는 이차성 고혈압증이라고 합니다.

 

◎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증

고혈압증의 90% 이상은 본태성 고혈압증입니다. 유전적 요인이 관계되어 있고, 장년기 이후에 발병하며, 고령이 됨에 따라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는 진해잉 빠르고 비교적 짧은 경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악성 고혈압증이라고 하며, 젊은 층에서 많습니다.

 

◎ 속발성(이차성) 고혈압증

가장 많은 것은 콩팥성 고혈압증입니다. 콩팥성 고혈압증은 콩팥동맥경화증, 만성 사구체신염(토리콩팥염)에 의한 것이 많습니다. 동맥경화즈엥 의하여 콩팥동맥의 속공간이 좁아져서 토리로 흐르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토리로 흐르는 혈액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리곁장치로부터 레닌(Renin)이라고 불리는 호르몬 물질이 분비됩니다.. 그렇게 되면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는 안지오텐신(Angiotensin), 알도스테론(Aldosterone)의 방출이 촉진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내분비질환인 부신의 갈색세포종,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쿠싱증후군 등에 의하여 고혈압증이 발생합니다.

 

◎ 분류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증

양성 고혈압

악성 고혈압

속발성(이차성) 고혈압증

콩팥성 고혈압

- 콩팥실질성 질환(만성 사구체신염 등)

- 콩팥혈관성 질환(콩팥동맥경화증 등)

내분비성 고혈압

- 갈색세포종

- 쿠싱증후군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등

심장혈관성 고혈압

- 대동맥염증후군

- 대동맥경화증 등

신경성 고혈압

- 뇌압항진(뇌종양, 뇌출혈 등)

- 혈관운동신경 자극 등

그 외

- 임신고혈압증후군 등

3) 병리소견

고혈압의 결과로 발생하는 변화로는 콩팥 등 전신 장기의 세동맥경화와 심장비대가 있습니다. 고혈압증에서는 말초혈관의 저항이 증가하여 굵은 동맥에서의 혈압이 높아집니다. 말초혈관의 저항이 왜 높아지는가, 그 기전은 불분명합니다. 장기 내에서는 세동맥이 수축, 이완함으로써 장기 내를 흐르는 혈액량과 말초혈관 혈압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중에서는 세동맥에 대한 혈압조절 부담이 커져 그 결과로써 내막의 유리모양변성(초자양변성), 비후가 발생하며 이것이 세동맥경화입니다. 그 정도가 심해지면 섬유소모양 괴사 상태가 됩니다. 이것은 악성 고혈압증일 때에 나타나기 쉽습니다. 세동맥경화는 특히 콩팥, 뇌 등에서 나타나고, 콩팥경화증이나 뇌출혈의 원인이 됩니다.

 

4) 치료

고혈압증의 치료는 생활지도, 식사요법, 약물요법을 조합하여 이루어집니다.

 

◎ 생활지도

정신적 긴장상태(스트레스)는 혈압상승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는 생활양식을 지도해야 합니다. 적당한 운동과 휴식(휴양)은 좋은 방법입니다.

 

◎ 식사요법

염분 섭취량과 고혈압증의 발병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염분 섭취량을 1일 6g 미만으로 제한한 식사를 하는 지도가 필요합니다. 체중을 비정상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약물요법

생활지도와 식사요법으로 혈압이 충분히 조절될 수 없는 경우에는 혈압강하약이 사용됩니다. 작용기전의 차이 등에 의하여 많은 약제가 있습니다. 작용으로는 이뇨를 촉진함으로써 순환혈장량을 줄이는 것(이뇨약), 교감신경의 자극을 억제하여 말초혈관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α 수용체자극약, 말초교감신경억제약, β 차단약 등), 혈관을 수축시켜서 근육의 움직임을 저해하는 것(Ca 길항약),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의 이동을 저해하거나 그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ACE 저해약,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길항약) 등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