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과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 Page)
본문 바로가기

공부/과학50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빛의 세기,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제한요인) ◎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② 빛의 세기 광합성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광분해하고 광인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빛의 세기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일조량이 감소하여 작물과 과일의 수확량이 떨어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식물은 빛이 없는 밤에는 호흡만 하고, 빛이 있는 낮에는 호흡과 광합성을 동시에 합니다. 호흡을 할 때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광합성을 할 때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그러므로 식물은 밤 동안에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낮이 되어 빛을 받게 되면 광합성을 시작하여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한편 하루 중 태양의 고도는 계속해서 변화합니다. 고도가 변합에 따라 식물이 받는 빛의 양도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2019. 8. 25.
암반응,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1) ◎ 암반응 1948년 칼빈(M. Calvin)과 벤슨(A. A. Benson)은 단세포 녹조류인 클로렐라의 배양액에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 된 14CO2를 넣어 주고 이산화탄소가 포도당으로 합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혔습니다. 칼빈은 녹조류에 방사성 동위 원소인 14C를 함유한 14CO2를 주어 일정한 시간 동안 광합성을 시켰습니다. 거기에다 끓인 알코올을 넣어 일단 반응을 중지시킨 다음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라는 방법으로 14C가 녹조류의 세포 속의 어느 물질에 들어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광합성이 시작된 초기에는 14C를 포함하는 물질이 적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가지 복잡한 화합물에 점차 14C가 포함되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즉, 클로렐라에 오랜 시간 14CO2를 주면 모든 중간 생성물에 .. 2019. 8. 24.
명반응과 광인산화 ◎ 명반응 광합성 결과 산소가 발생합니다. 즉, 광합성 생물체가 만들어내는 산소가 바로 지구의 대기 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인 것입니다. 1939년 힐(R.Hill)은 질경이 잎에서 얻은 엽록체의 현탁액에 수소를 잘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진 옥살산철(Ⅲ)을 넣고 빛을 쬐었더니 산소가 발생하고 옥살산철(Ⅱ)로 환원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힐은 광합성에서 발생하는 산소는 물이 빛 에너지에 의해 분해되어 생긴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용기 속에는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없었고 엽록체를 함유한 물만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분해로 인해 생기는 수소는 옥살산철(Ⅲ)을 환원시킨 것으로 보아 엽록체 속에는 옥살산철(Ⅲ)과 같이 수소 수용체 역할을 하는 어떤 물질이 있을 것으로 믿었는데, .. 2019. 8. 23.
엽록체의 구조 및 광합성 색소, 광합성 과정의 특징 ◎ 엽록체의 구조 엽록체는 식물 잎의 엽육 세포와 공변세포, 어린 줄기의 표피에 있습니다. 즉, 식물체에서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는 부위에 있다는 말입니다. 특히 녹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무조건 엽록체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엽록체는 녹색광을 잘 반사하거나 투과시키는 엽록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엽록체는 보통 타원형으로 생겼습니다. 상당히 큰 세포 내 소기관으로 두께 2.5㎛, 길이 5㎛정도이며, 전자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해 보면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그 안에는 틸라코이드라는 막상 구조가 여러 개 포개져 있습니다. 특히 틸라코이드막이 겹쳐져 마치 동전을 쌓아 놓은 것과 같이 생긴 구조물을 그라나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라나와 그라나 사이는 틸라코이.. 2019.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