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분류(3-2)
본문 바로가기
공부/과학

동물의 분류(3-2)

by 호아Hoa 2019. 9. 29.

◎ 동물의 분류

▶ 선형동물

편형동물이 편평한 형태의 동물을 말한다면 선형동물은 이름 그대로 마디가 없는 원통형의 길쭉한 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체절이 없습니다. 디스토마와 촌충이 편형동물에 속하는 기생충이라면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 편충 등 대부분의 나머지 기생충들은 선형동물에 속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선형동물은 약 10,000여 종에 이르며 척추동물에 기생해서 살아갑니다. 이들은 원체강 동물이며 입과 항문이 분화되어 있는 소화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편형동물의 원신관이 변형된 배출관(측선관)과 신경환이 있습니다. 자웅 이체로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합니다.

 

▶ 윤형동물

윤형동물은 길이가 1mm 정도로 편형동물이나 선형동물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주로 민물에 서식하며 선형동물과 비슷한 원체강을 갖습니다. 머리에 있는 섬모환을 이용해 섬모 운동으로 이동하고 먹이를 잡습니다.

윤형동물의 특징은 단위 생식을 한다는 점입니다. 자웅 이체이므로 암컷과 수컷이 모두 있을 때는 유성 생식이 가능하지만 윤형동물의 수컷은 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만 잠깐 나타나기 때문에 수컷이 없는 시기에는 암컷 혼자서 번식을 해야 합니다. 이때 다른 생물들처럼 분열법을 이용하지 않고, 난자가 수정을 하지 않아도 발생을 거쳐 성체가 되는 단위생식을 합니다. 윤형동물은 윤충 등 약 1,500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 연체동물

연체동물에 속하는 동물들인 오징어, 달팽이, 문어 등은 실제로 몸이 매우 연하고 체절(몸의 마디)이 업습니다. 대신 근육으로 되어 있는 발을 갖고 있으며 몸의 표면은 외투막으로 싸여 있습니다. 우리가 오징어에서 먹는 부분은 이 외투막 부분입니다.

연체동물은 진체강이며 몸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습니다. 대부분 자웅이체이며 유성생식을 하는데 조개류는 발생 중에 트로코포라 유생 시기를 거칩니다. 트로코포라(Trochophora)는 연체동물과 환형동물에서 나타나는 유성 시기의 일종입니다. 연체동물은 약 11만 종이 알려져 있는데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쌍경류 : 등에 체절과 같은 8개의 껍질을 갖는 종류(딱지 조개)

- 복족류 : 몸에 나사 모양의 껍질로 싸여 있고 배 쪽에 근육질의 편평한 발을 가진 종류(달팽이, 고동, 전복, 소라)

- 부족류 : 몸이 두 장의 껍질로 싸여 있고 도끼 모양의 발을 가진 종류(바지락, 대합, 홍합)

- 두족류 : 껍질이 퇴화되고 머리 부분에 발이 달려 있는 종류(오징어, 문어, 낙지)

 

▶ 환형동물

모양은 선형동물과 유사한 긴 원통형이지만 선형동물은 체절이 없는데 반해 환형동물은 체절 구조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호흡은 큐티클로 덮여 있는 체표면으로 이루어지며, 체벽의 환상근과 종주근의 수축, 이완을 통해 이동합니다. 지렁이를 보면 주욱 늘어났다가 다시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바로 이 과정을 말하는 것입니다.

진체강을 갖고 있으며 순환계는 폐쇄 혈관계(혈관이 조직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혈장이 하나의 큰 관을 계속 순환하는 혈관계)이고, 신경계는 사다리 신경계입니다. 환형동물에 속하는 지렁이, 거머리는 자웅동체이지만 갯지렁이는 서로 다른 개체끼리 교미를 해서 번식하는 자웅 이체이고 발생 중에 트로코포라 유생 시기를 거칩니다.

 

▶ 절지동물

동물계를 10개로 분류할 때 이 중 거의 대부분은 절지동물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비, 벌 등의 곤충류와 가재, 거미, 지네 등이 모두 절지동물에 속하며 이들은 모두 키틴질의 외골격으로 덮여 있습니다. 외골격은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절지’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마디가 있는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절지동물을 다시 곤충류, 다지류, 거미류, 갑각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나타낸 것입니다.

특징

곤충류

다지류

거미류

갑각류

몸의 구분

머리, 가슴, 배

머리, 몸통

머리가슴, 배

머리가슴, 배

겹눈, 홑눈

홑눈

홑눈

겹눈 1쌍

다리

3쌍

체절마다 1쌍

4쌍

5쌍

촉각

1쌍

1쌍

없음

2쌍

호흡 기관

기관

기관

기관, 폐서

아가미

변태

한다

하지 않는다

하지 않는다

한다

종류

나비, 벌, 파리 메뚜기

지네, 노래기, 그리마

거미, 진드기, 전갈

가재, 새우, 게 따개비

▶ 극피동물

극피동물은 모두 바다에 살고 있으며, 불가사리, 해삼, 성게, 바다나리 등 약 6,000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극피동물들은 체절이 없고 몸 표면에 석회질로 된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어린 유생은 좌우 대칭이지만 성체는 방사 대칭이며, 바닷물을 끌여 들여서 몸속으로 순환시키는 수관계가 발달해 있습니다. 대부분 자웅 이체로 유성 생식을 하며 한 부분이 떨어져도 죽지 않고 다시 만들어지는 재생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공부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의 구조, 비생물적 환경 요인과 생물(3-1)  (0) 2019.10.01
동물의 분류(3-3)  (0) 2019.09.30
동물계, 3배엽성 동물 특징, 동물의 분류(3-1)  (0) 2019.09.29
식물계(2-2)  (0) 2019.09.27
식물계(2-1)  (0) 2019.09.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