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계
본문 바로가기
공부/과학

균계

by 호아Hoa 2019. 9. 25.

◎ 균계

여기서 이야기하는 세균은 곰팡이(Fungi)입니다. 군류의 특징을 몇 가지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다세포성 진핵 생물이다.(예외 : 효모(단세포))

- 외부 생물에 기생하여 영양을 얻는 종속 영양 생물이다.

- 키틴질(chitin)로 이루어진 세포벽이 있고 운동성이 없다.

- 균사로 되어 있다.

- 포자로 번식한다.

식용으로 이용하는 버섯도 군계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우리가 먹는 부분은 모두 균사 부분입니다. 이런 균류는 다시 진균과 조균으로 나뉩니다. 진균은 균사에 격벽(균사의 중간에 있는 벽)이 있으며, 조균은 격벽이 없습니다. 그리고 진균은 다시 자낭 포자를 형성하는 자낭균류와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담자균류로 나누어집니다. 조균에는 접합 포자를 형성하는 접합 균류가 있습니다.

 

접합균

빵을 오래 두면 시커먼 곰팡이가 됩니다. 이것을 검은빵곰팡이라고 하며 접합 균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접합 균은 균사에 격벽이 없는 매우 하등한 균에 속합니다. 접합 균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균사가 직접 접합하여 접합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접합 포자를 만드는 방법이 유성 생식이고, 무성 생식을 할 때에는 균사의 끝에 포자낭을 만들어 포자로 번식합니다.

 

자낭균

자낭균은 균사에 격벽이 있는 진균으로 유성 생식 포자인 자낭 포자를 만듭니다. 대부분은 접합 균과 마찬가지로 균사 끝부분의 포자낭에서 사슬 형태의 분생 포자무성 생식을 하지만 때로는 균사의 접합으로 자낭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8개의 자낭 포자를 만드는 유성 생식을 하기도 합니다. 자낭균에는 푸른곰팡이, 누룩곰팡이, 붉은빵곰팡이, 효모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효모는 다른 곰팡이들과 달리 균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출아법을 이용해서 번식합니다. 그런데도 효모를 자낭균에 넣는 이유는 때로 저희들끼리 접합하여 자낭을 형성하고 자낭포자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담자균

진균에 속하는 두 번째 균인 담자균은 자낭균이 자낭 포자를 형성하듯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균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버섯입니다. 버섯갓의 뒷면을 보면 주름이 많이 져 있습니다. 이 주름 사이에서 4개의 담자포자가 나옵니다. 이 포자들이 발아하면 하나의 핵을 가진 1차 균사가 만들어지고, 1차 균사끼리 접합하여 두 개의 핵을 가진 2차 균사를 형성합니다. 2차 균사가 우리 눈에 보이는 버섯입니다. 2차 균사는 핵융합을 통해 담자병을 형성하고 담자병에서 담자포자가 만들어집니다. 버섯 외에도 곡물에 깜부기병(담자균류에 의한 식물병으로 병에 걸린 이삭은 여물지 못하고 검은색의 가루가 되어 흩어짐.)을 일으키는 깜부기균, 녹병(Rust, 녹병균이 식물에 기생하여 발생하는 병으로 철의 녹과 같은 포자 덩어리를 만듦.)을 일으키는 녹병균 등이 담자균에 속합니다.

군계

- 키틴질 세포벽을 가진 다세포성 진핵 종속 영양 생물

- 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자로 번식

조균

접합균류

격벽 없음

무성 생식(포자)/ 접합 포자

예) 빵 곰팡이

진균

자낭균류

담자균류

격벽 있음

- 무성 생식(포자)/ 자낭 포자

- 담자포자

예) 효모, 버섯

 

※ 종속영양과 독립영양

 

이들을 구별하는 것은 혼자서 자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의 여부(독립성)입니다. 종속 영양이란 다른 생물이 만든 유기물에 의존하는 영양 형식으로 자기 스스로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합성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녹색 식물이 광합성으로 만든 양분 또는 그들을 먹는 동물의 양분으로 섭취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모든 동물과 엽록소를 갖지 않는 식물 등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서 독립 영양이란 무기 영양원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유기물을 합성할 수 있는 영양 형식으로 이러한 방식을 가지는 대표적인 생물은 대부분 녹색 식물로서,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 영양소를 유기 영양소로 바꾸는 광합성을 합니다. 이 외에도 에너지를 태양 외에 화학적으로 얻는 생물도 있고, 환경 조건에 따라 두 가지 영양 형식을 전환하는 생물도 있습니다.

여기서 생명의 기원에서 최초로 생긴 원시 생물은 지구 상의 유기물을 취했던 것으로 추측되는 종속 영양 생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이 번성하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했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할 수 있는 독립 영양 생물이 출현하고 이들에 의해 산소가 만들어져서 종속 영양 생물이 또 번성하게 되었습니다.

'공부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계(2-2)  (0) 2019.09.27
식물계(2-1)  (0) 2019.09.26
원생 동물(3-3)  (0) 2019.09.24
원생 동물(3-2)  (0) 2019.09.23
원핵 생물계(2-2), 원생 생물(3-1)  (0) 2019.09.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