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간접 빌리루빈1 신생아 건강문제 - 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의 건강문제 2. 생리적 요인과 관련된 문제 1)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액 중에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현상을 지칭하며, 황달, 즉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 흔하며, 대부분의 예에서 비교적 경한 경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신생아의 황달은 대부분은 간접 빌리루빈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데, 간접 빌리루빈은 신경에 손상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병리적 상태로 간주하여야 합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비포합 혹은 포합 빌리루빈의 증가로 나타납니다. (1) 병태생리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로 인한 혈색소의 파괴산물입니다. 적혈구나 파괴될 때 파괴산물이 순환 내로 분비되어, 거기서 혈색소가 Heme와 globin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 2020. 1.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