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신생아 - 빈혈, 다혈구혈증, 미숙아 망막증
본문 바로가기
공부/임신. 출산 공부

고위험 신생아 - 빈혈, 다혈구혈증, 미숙아 망막증

by 호아Hoa 2020. 1. 22.

고위험 신생아

 

4. 심혈관/혈액계 장애

 

3) 빈혈

빈혈은 혈색소량이나 적혈구 수 혹은 이 두 가지가 모두 정상치보다 떨여져 있는 상태로 만삭아보다 미숙아가 조기에 더 심각한 빈혈을 나타냅니다. 출생시 출혈이나 용혈성 질환, 혈소판 감소증 등의 혈액 질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병원 내에서 반복되는 혈액 채취도 요인이 됩니다. 성장에 따라 조혈 기능 미성숙으로 인해 생리적 빈혈이 나타납니다.

한편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도 신체에 필요한 다량의 철분을 위에서 흡수할 능력이 있습니다. 철분이 함유된 유동식이나 철분제제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혈액 채취로 인한 심각한 혈액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흔히 농축 적혈구를 수혈합니다. 출생 후 4~12주 경에 생리적 빈혈이 가장 심하며 어떤 영아에게 있어서는 진성 빈혈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미숙아에게 있어 빈혈의 증상은 수유저하, 산소 포화도 저하, 수축기 잡음, 호흡곤란, 빈맥, 빈호흡, 활동 저하, 창백함, 성장부진 등입니다. 그러나 어떤 신생아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4) 다혈구혈증

다혈구혈증이란 정맥혈이 헤마토크리트가 65% 이상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혈액의 점도가 높아 각 장기로 가는 혈액 관류가 저하됩니다. 다혈구혈증은 태내에서 쌍둥이 사이의 순환이나 모체-태아 순환에서 과량의 혈액이 이동되었거나, 출생 후 적혈구 생산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 재태 기간에 비해 작은 체중아일수록 다혈구혈증의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다혈구혈증이 있으면 심폐기관 부전 증상(태아순환지연, 청색증, 무호흡 등), 경련, 고빌리루빈혈증, 위장관 기형 등이 많이 나타납니다. 저산소증, 저혈당, 고빌리루빈 혈증 등의 대사성 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적절한 치료가 요구되며 증상에 따라 혈액의 밀도를 낮추기 위해 희석된 혈청을 수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은 망막이 섬유조직과 혈관으로 대체되는 질병으로 미숙아에게 관찰되는 모든 단계의 망막 손상을 포함합니다. 수정체 후부 섬유증식증이라고도 하며 주로 가장 심한 영아에게 나타나는 후기의 반흔 변화를 뜻합니다.

미숙아 망막증은 미숙아에게 흔하며 중증도는 신생아의 미숙도와 정비례하여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발생률이 높아지고, 극도로 미숙한 신생아에게 망막 손상의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그 밖에 미숙아 망막증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은 과산소증, 저산소증, 탄산과잉증, 저이산화탄소혈증, 동맥관 개존증,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저해제 사용, 무호흡, intralipid 투여, 뇌실 내 출혈, 비타민 E A 부족, 젖산 산혈증, 모체 당뇨, 광선 노출, 유전자 요인 등입니다. 과거에는 고농도의 산소 치료로 미숙아 망막증이 초래된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미숙도와 그 밖에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병태생리

미성숙한 망막혈관의 심한 수축과 허혈 상태로, 허혈이 있는 부분에 망막혈관 성장이 자극되어 정맥이 많이 생겨나고 확장된 모습을 보입니다. 새로운 혈관이 렌즈 방향으로 증식하면서 홍체액과 초자체액이 혼탁해집니다. 망막은 부어오르고 출혈로 망막과 렌즈가 분리됩니다. 더 진행되면 망막에서 렌즈를 향해 반흔이 생겨나서 눈의 구조가 파괴되어 영구적으로 시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2) 진단

혈관이 침범된 정도에 따라 망막의 손상단계를 체계적으로 분류합니다.

1단계 : 분리선의 생성

2단계 : 융기선의 생성

3단계 : 융기선과 망막 외 섬유성 혈관 형성

4단계 : 망막 박리

 

(3) 치료

가장 중요한 관리는 미숙아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지 않는 것입니다. 조기진단과 치료 및 지속적인 중재가 중요한데, 미숙아 망막증의 예방과 조기 치료의 일환으로 위험군을 분류해내는 지침에 의하면, 초기 분류 지침으로 1,500g 미만 미숙아 또는 재태기간 28주 미만으로 출생한 4~6주 신생아 또는 추가적 관리가 필요한 31~33주 신생아 등이 포함됩니다.

치료의 일차적 목표가 예방이지만 미숙아 망막증의 치료는 혈관 증식 예방에 초점을 두어, 냉동요법과 레이저 요법이 가장 많이 적용됩니다.

 

 

댓글